본문 바로가기

커피비즈니스

커피 바이어2탄 ( 나만의 판매원칙 을 정해보자)

아래 에 내용은 필자 가 커피 바이어 로서 일한 경험 이 아닌 전문적 인 커피바이어 님 이 쓰신 커피 바이어 라는 책을 정리한 내용이다 


당연한 얘기 일수도 있지만 무엇인가 를 판매 할때 는 자신만의 판매원칙 이 중요하다 그러면 그것이 브랜딩이 되고 고객 들은 아 이런곳은 이엏게 파는구나 라는걸 이미지 로 확 알수있기 때문이다 

그렇다면 몇가지 판매원칙 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자 


1. 프로필 기반

산지 와 무관하게 자신이 바라는 품질 이 있으면 바로 구매결정 을 내린다 

장점=블라인드 커핑 을 통과하는 커피 를 고르기만 하면 된다 희귀한거면 공급자 수도 더 적을것이고 방문탐사면 에서 선택 과 집중이 가능하다 

단점= 원하는 양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울수도 있고 희귀한 커피 일수록 다 팔릴 가능성이 있다 

2.산지기반

모든 산지에서 조금씩 들여오거나 아니면 다수 의 산지 중 몇곳 의 커피 를 중점적으로 공급받는식이다 

장점=여러 산지 커피 를 피상적으로 구매하기보다는 한 산지 에 집중해 다양한 향미 프로필을 가진 각각 의 커피 를 구매할수 있다 정기적으로 공급자 를 방문하면 방문때마다 더 많은 산지 를 발굴하고 산지 기반 커피 메뉴 를 더 합리적으로 짤수 있을것이다 

단점=매 수확기 마다 넘어야 할 고비 가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산지 에서 공급 받으러 갔는데 커피질병이 퍼지거나 기후변화 로 인해 피해 받으면 말짱 도루묵이다 

3.생산자 기반 

생산자 의 스토리 나 친분을 맺은 이후 로 거래 를 자주하는 유형이 있다  예를 들어 과테말라 엘인헤르토 농장 은 하나 의 농장만으로 게이샤 외에 다른 품종의 커피 도 생산해 공급해주고 있다 

장점/단점=공급자 와 의 관계 가 중요하므로 관계유지 가 중요하다 

4.고객기반

고객들에 커피취향에 맞추어 커피 를 공급받는 유형이다 

장점=고객 의 커피취향이나 재고 의 위험 발생률이 줄어든다 

단점=너무 맞추다 잘못하면 특출나지 않은 그저 그런 브랜드 가 될수있다 

5.제철기반 

제철 커피 만 쓰는 방식이다 커피 는 수확일 이 따로 정해져 있는데 그때 그 커피 만 특정기한 내 쓰는것이다 

장점=커피재고 가 쌓일 일도 수개월 동안 똑같은 커피 를 내놓을 가능성이 적다 

단점=특정 산지 의 커피 를 제한된 기간 내 다 로스팅 하지 못했다면 이 재고 를 어떻게 해결할것인지 스스로 만든 규칙땜에  골치 아파진다 


(판매원칙 을 정할때 주의할점)

1. 판매 원칙 을 정한다 판매원칙 이 없다는건 브랜드 가 어떤 메시지 를 전하고 싶은지 모르는 거와 같다

2.너무 자주 바꾸지 말것 너무 자주 바꾼다는건 브랜드 의 방향성이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 다 

3.다른 이 의 리스트 를 맹목적으로 배끼지 말것 남의 것을 배낀다는 것은 판매 철학 이 없는거와 같다 

4.다른 이 의 리스트 와 차별화 할려고 무리하지 말것 판매 리스트 를 좀 다르게 하려는 이유 만으로 다름 을 추구하는 로스터 또한 왜? 라는 질문에 당황할수 있다 때로는 경쟁업체 와 몇몇품목이 동일할수 있고 그 커피 는 그만큼 좋은 커피구나 라고 생각하자 

5.모든 산지 의 커피 를 다 취급하지 말것 다 취급하게 되면 재고처리 가 힘겨워질수있다


나의 판매원칙은 1번 이라 볼수 있다 내가 만든 브랜드 인 크리에이티브 스페셜티 는 창의적인 가공방식 과 품종 과 맛이 나는 커피 를 우선적으로 본다 새로운 가공방식 의 커피 가 나올수록 커피시장은 더 발전할수 있구나 라는 동기 와 그런 커피 가 나올수록 재미있기 때문이다 

반응형